진주석갑산 문제
진주석갑산 문제

본문

1. 사건의 개요

back.jpg

 

진주 석갑산 육총 정씨 조분설은 압해도 고분 정덕성설과 상계 15대설의 여파이며, 그 양상과 본질은 거의 동일하다. 진주 석갑산의 한 자락에 있는 6기의 고총이 압해정씨의 조분이라는 주장은 1693년-1700년의 8년 사이에 만들어져 유포된 ‘범정씨동근동조설(汎丁氏同根同祖說)’의 신봉자이기도 한 낭혜(朗慧)라는 중에 의해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1729년에 50대의 요승 낭혜(朗慧)가 마현을 방문해 다산의 증조부 정항신(丁恒愼)에게 진주 촉석루에서 그리 멀지 않은 석갑산 자락에 압해정씨의 시조인 정윤종(丁允宗)을 비롯한 6기의 조상 묘가 있음을 확인했다고 말하였다. 더욱이 낭혜는 비석에 새겨진 문자까지 필사해 와서 제시하였다.

 

그 해 다산의 증조부 정항신(丁恒愼, 1691-1733)이 39세, 조부 정지해(丁志諧, 1712-1756)가 18세였고, 다산의 아버지 정재원(丁載遠, 1730-1792)은 태어나기 한 해 전이다.

여섯 기의 무덤을 요즘은 번호를 매겨 부르는데, 1호분 정열(丁悅), 2호분 정윤화(丁允樺), 3호분 정윤종(丁允宗), 4호분 정언진(丁彦眞), 5호분 정변(丁㭓), 6호분 정량(丁良)이다.

그의 주장에 의하면 정열은 정윤종의 증조부이며, 정변은 조부, 정윤화는 형이며 나주(압해)정씨의 족보에 보이는 정량, 그러니까 정윤종 공 손자의 무덤까지도 실재한다고 말하였다.

이 소식을 전해들은 다산가는 충격에 휩싸였던 것이 사실이다. 이후 다산가에서는 3대에 걸쳐 진주석갑산 고분군을 답사하고 고증하여 그 진실을 밝혔고, 근대에 와서도 여러 학자들이 고증과 사실 확인을 거쳐 진주 석갑산 고분군의 진실을 밝히게 되었다.​